듀이의 ‘행함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의 의미 탐구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교과교육학연구
- 제18권 제4호
-
2014.121163 - 1182 (20 pages)
- 401

본 논문은 듀이가 말한 ‘행함에 의한 학습’의 의미가 직접경험이나 활동을 통해서만 배운다는 의미로 많이 해석되는점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하였다. 학습자의 심리만큼 교과의 논리를 중시하고 또한 삶과 교육에서 경험이 중요한 만큼 사고가 중요하다고 본 듀이의 철학에서 ‘행함에 의한 학습’이 무엇이고 교과교육에서 어떻게 해석되어져야 하는 것인가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듀이에게 인간의 삶은 자연과 인간의 끊임없는 트랜스액션으로서의 경험 혹은 행함이다. 이행함은 아는것 이상의 개념이다. ‘행함에 의한 학습’의 의미는 일차적으로 학습이 정신과 신체가 분리될 수 없는 학습자의 일상적 경험과 그 질적 직접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안다는 것은 제 신체기관을 포함하는행함 안에서 이루어진다. ‘행함에 의한 학습’의 다음 의미는 경험의 실험적 성격을 강조하는 관점에서나온다. 즉, 인간의 충동에 기초한 일상적 삶이 지성 혹은 사고의 결과로서의 ‘해보는것’에 의해 통제될 때, 일어나는학습을 의미한다. 인간은 주어진 환경과 트랜스액션할 뿐 아니라, 미래를 위해 그 환경을 바꿔나간다. 교육의 핵심은경험 속에서 지성에 의한 사고 습관을 형성하는일이다.이 두 의미는 분석 상 구분되나 실제 교육적 경험이 되기 위해서 통합되어야한다. 아동의 초기 학습 단계에서는 실감과 감상에 기초한 행동에 의한 학습이 더 필요하다. 그러나직접 경험에만 근거한 학습은 극히 제한된 교육만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듀이의 ‘행함에 의한 학습’ 이라는 말을 단순히 직적경험과 같은 의미에서의 행함에 의한 학습으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본다. 직접경험은 초보단계에서는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나, 이후 더 많은 교과교육에서 학습은 학습자의 이전의 경험과 새 경험을 이을 수 있도록 의사소통과 상상력을 동반한 사고에 의해 인도되어야 한다. 이 때 사고가 일상적 삶, 또는 인간본성 속의 에너지인 충동이나 욕망 및 습관을 통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개되도록 학습자의 경험에 유의미한 교육사태를 구성하여교육이 이루어지면 그 경험은 인지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것이다. 즉, 환경에 능동적으로 해보는 것의 결과로 알게 되며 그로인해 일상적 경험의 의미가 확장되고 재구성된다. 듀이에 의하면, 이러한 경험의 완결성으로 욕구나감각과 정서의 생명 에너지가 더 충만해지고 인간의 능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II. 듀이의 ‘행함(넓은 의미의 경험)’의 특성 2
1. 경험과 자연의 연속성 3
2. 일상적 경험의 질적 직접성(qualitative immediacy) 5
3. 탐구와 경험의 실험적 성격 8
III. 듀이의 ‘행함에 의한 학습’의 의미와 학습단계 11
1. ‘행함에 의한 학습’의 두 의미와 관계 11
2. ‘행함에 의한 학습’과 학습단계 12
IV. 결론 및 제언 17
Abstract 2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