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영어 말하기 채점자의 행동 특성 분석 - 채점자 훈련을 위한 제언 -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교과교육학연구
- 제19권 제4호
-
2015.121081 - 1101 (21 pages)
- 122

본연구는우리나라고등학생을대상으로시행되었던NEAT말하기채점자를대상으로심층면담 을실시하여채점에수반된인지과정,채점전략,점수판단의근거등을심도있게파악함으로써말 하기채점자훈련에적용할수있는정보를얻고자하였다.채점자신뢰도상위수준의채점자여섯 명,하위수준채점자세명과의채점직후심층면담을통해다음과같은특징을파악하였다.첫째, 우수채점자들은말하기답안내용을일부또는전체를받아쓰는‘노트하기’전략을사용함으로써영 역별분석적채점의정확도를높이고자하였다.둘째,우수채점자들은채점영역중과제완성점수 를기준으로타영역점수의상한선을정하는소위‘골든룰’ 적용을통해채점의일관성을확보하였 다. 반면에하위수준채점자들은비록이골든룰을인지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실제채점에제대 로적용하지못하였다.셋째,우수채점자들은채점영역간독립채점과의존적채점을병행하는반 면,하위수준채점자들은영역별독립채점을거의하지못하고전반적인인상에근거하여모든영 역을 서로 의존적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채점기준이 내재화되지 못한 하위수준 채점자는 임의로영역별점수의범위를줄여좁은점수범위안에서모든답안에비슷한점수를부여하는경 향을보였다.비록NEAT와같은국가수준의영어말하기평가시행은중단되었지만학교단위영어 말하기지도와평가가정착되기위해영어교사를대상으로하는채점자연수가활발해지기를고대 하고본연구의주요결과가그러한연수에서의미있게활용될수있기를바란다.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