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퍼지理論을 利用한 有故感知 알고리즘

  • 0
132606.jpg

本 論文은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에서의 有故感知模型 개발을 위해 퍼지이론을 應用한 研究를 文書化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交叉路와 一般道路(고속도로가 아닌)에서의 有故感知에 관한 연구는 初期段階에 不過하다. 기존의 알고리즘들은 필요한 데이터 確保의 어려움과 有故感知의 多次元的 特性과 관련된 技術的 어려움을 效果的으로 克服하지 못하고 있다. 본 硏究의 目的은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에서의 有故感知를 위한 새로운 模型을 開發하는 데에 있다. 이 硏究를 통하여 개발된 有故感知 模型은 車線遮斷 有故(lane-blocking incidents)를 感知하는데, 感知의 범위는 車線遮斷 有故의 影響이 交通狀況에 특정한 패턴을 形成하고 그에 따른 信號制御戰略의 조정이 요구될 때에 局限된다 이 模型은 傳統的인 臨界値를 이용한 有故感知槪念 固有의 境界條件 문제를 해결하며, 보다 正確하고 信賴性 있는 有故感知를 위해 다양한 交通變數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有故의 影響을 포착한다. 또한 이 模型은 實時間 交通對應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 信號制御 시스템 (real-time traffic adaptive diamond interchange control system)의 構成要素로써 사용되며, 그리고 더 큰 교차로 시스템에의 適用을 위하여 擴張이 容易하도록 設計되었다. 本 硏究를 통해 개발된 프로토타입(prototype) 有故感知 模型은 실제의 다이아몬드 인터체인지에 적용되어, 感知率, 誤報率, 平均感知時間의 세 尺度로써 性能이 評價되었다. 模型의 性能評價 結果는 鼓舞的이었으며, 퍼지이론은 有故感知에 效果的인 접근방법임을 確認할 수 있었다.

요약

Ⅰ.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DESCRIPTION OF THE INCIDENT DETECTION MODEL

Ⅳ. INCORPORATION OF THE INCIDENT DETECTION MODEL INTO A REAL-TIME CONTROL SYSTEM

Ⅴ. EVALUATION OF THE INCIDENT DETECTION MODEL

Ⅵ. CONCLUSIONS

Ⅶ.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