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OD조사 전수화 방법

  • 50
132685.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전수화란 표본자료에 적정한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전체 모집단의 특성과 최대한 유사하게 맞추는 일련의 과정으로, 전수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표본에 적용할 전수화계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전수화계수란 조사된 표본하나가 대표할 수 있는 크기를 말하는데, 예들 들어 전수화계수가 50이란 것은 표본하나가 모집단에서는 50개를 대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전수화계수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전수화계수 산출시 전체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모집단크기와 표본크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수화계수를 산출하면 모든 지역에 동일한 전수화계수가 적용됨으로써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전수화계수를 각 지역별로 사회경제지표별로 세분화하여 적용하면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 전수화계수를 지역별로 사회경제지표별로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전수화계수를 산출하면 표본의 대표성이 좋아지나, 카테고리가 너무 세분화 될 경우에는 표본자체가 없는 카테고리(zero category)가 발생할 수 있어 과소추정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적정한 크기로 카테고리를 세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Ⅰ. 전수화 개념

Ⅱ. 전수화 과정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