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2차로도로는 저속차량의 추월이 어려워 소통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추월시 대향차량의 영향으로 안전에도 큰 위협을 받게된다. 따라서 안 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의 관점에서 운전자에게 추월할 기회를 주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2+1차로도로란 지금까지의 지방지역 2차로도로에 서 특정구간에 국한되어 운영되는 좌회전차로, 추월차로 및 오르막차로 등 과는 달리 <그림 1>과 같이 연속적인 3차로 횡단면으로 구성된 홀수차로 도로로서 도로여건, 교통량 등에 따라 중앙차로에 양방향 교대로 추월차로 를 설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하고 지속적인 추월기회를 갖도록 함으로 서 자유로운 주행성을 갖추는 도로를 말한다. 따라서 2+1차로는 양방향 2 차로도로의 용량을 높이고 추월차량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대형차량과의 충 돌기회를 줄임으로써 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는 새로운 도로의 유형이 다1). 교차로에서는 이러한 추월차로를 좌회전차로로 활용하여 좌회전 교통 량을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있다.
1. 개념
2. 적용조건
3. 적용효과
4. 적용성 검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