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신호교차로에서 유턴에 의한 좌회전·유턴 공용차로 용량 및 영향도 분석

  • 7
132726.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현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도시간선도로는 증가하는 교통량을 충분히 처리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슈퍼블럭으로 형성되어있는 가로망체계와 양방향 6차로 이상의 광로를 들 수 있다. 슈퍼블럭으로 형성된 도로망에서는 교차로간의 링크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접근로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간선도로가 본연의 목적인 통과교통 처리 이외에도 접근서비스도로 기능까지도 담당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문제점은 도시간선도로의 교통류관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신호교차로의 운영측면에서도 문제점을 야기 시키는데, 대표적인 예가 회전교통량의 증가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교차로에 집중되는 좌회전 교통량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신호교차로가 4현시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증가하는 교통수요와 이에 대한 충분한 현시 제공을 위해서 신호주기가 증가되어 운영되는 교차로가 많아지고 자연히 교차로의 지체 역시 증가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완화를 위해서 좌회전 금지 등의 조치로 좌회전 이동류를 통제하고 대신 유턴, p-턴 등의 전략을 이용하여 교통류를 이동시키는 기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Ⅰ. 서론

Ⅱ. 기존 연구의 고찰

Ⅲ. 좌회전 및 유턴전용차로의 용량분석

Ⅳ. 유턴 영향도 분석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