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속도로는 완전한 형태의 연속 교통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향별 연결로를 가지고 고속도로 본래의 기능제고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잦은 인터체인지 설치는 유ㆍ출입 교통량으로 인한 합ㆍ분류, 엇갈림 발생(Weaving)등으로 본선 교통류에 많은 영향을 야기시킨다. 이중에서 연결로-고속도로 접속부(The Ramp-Freeway Junction)는 본선 교통류와 연결로 교통류의 두 교통수요의 상충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이 구간에서는 고속도로 기본구간에서보다 현저히 많은 차선변경, 가ㆍ감속 및 본선차량과 연결로 차량간의 합ㆍ분류가 발생한다. 현재까지 연결로 접속부에 대한 연구는 크게 확률적인 방법론인 간격수락 모형과 HCM모형으로 대표되는 실증적 연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상의 연구들은 연결로 자체에만 관심이 있거나 독립된 연결로의 운영상태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을 뿐 교통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연구는 진행되어오지 못했다. 우리나라 연결로 접속단 간의 도로설계 기준을 살펴보면 연결로의 배치형태별(유입-유입, 유출-유출, 유입-유출, 유출-유입, 연결부상)로 최소 이격거리에 대한 규정을 정하고 있지만 이는 미국 AASHTO의 기준을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하고 있을뿐 이 부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I. 서론
Ⅱ. 접속단 간의 최소 이격거리 설계기준
Ⅲ. 시뮬레이션 모형의 검토 및 입력변수 선정
Ⅳ. 시나리오 설정 및 설계기준 제시
Ⅳ.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