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완화곡선은 곡선과 직선부 사이 혹은 곡선반경이 현저히 다른 두 개의 서로 인접한 곡선 사이에 설치하는 곡선이다. 완화곡선을 사용하게 되면 주행 시에 원심력의 증감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 완화곡선은 대부분의 경우 원곡선의 진ㆍ출입부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완화곡선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중 자동차의 완화주행궤적과 가장 비슷한 클로소이드 곡선(Clothoid Spiral)을 사용하도록 한다. 완화곡선을 클로소이드로 사용하는 경우, 그 크기는 접속하는 원곡선에 대하여 완화곡선의 파라미터를 A라 할 때 다음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 있을 때, 원곡선과 완화곡선의 조화가 이루어지고 시각적으로도 원활한 평면선형이 기대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위의 범위는 클로소이드 파라미터 A의 범위가 너무 크게 정해져 있고 그 범위를 정하는 기준도 마련되어 있지가 못하다. 때문에 설계 시에 제각각의 클로소이드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Ⅰ. 서론
Ⅱ. 원곡선 및 완화곡선의 일반사항
Ⅲ. 주행안전성을 고려한 클로소이드 파라미터의 산정
Ⅳ. 사례연구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