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자전거는 도로교통 법에 차마로 분류되어 차도로 통행하여야 함이 원칙이다. 자전거도로가 별도로 설치 되지 않은 도로에서는 최우측차로를 따라 통행해야 한다. 자전거가 신호교차로를 통과하고자 할 때 신호체계의 영향을 받는 상황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녹색 현시의 말미에 교차로에 진입하여 황색현시가 끝나기 이전에 교차로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Rolling Start)과 적색현시에서 정지선에서 대기하다가 녹색현시를 보고 출발하여 교차로를 지나치는 상황(Standing Start)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시공도(Time-Space Diagram)에서 "Rolling"과 같은 상황으로서 황색현시의 길이가 충분하지 못해서 자전거가 교차로를 벗어나기 이전에 다른 방향의 차량들이 교차로로 진입하여 자전거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는 "Standing"과 같은 상황으로서 정지된 자전거가 서서히 출발하여 교차로를 횡단하고 있으나 녹색현시가 충분치 못한 상황을 예상할 수 있다. Standing Start의 경우 녹색현시 중에 대부분 통과할 수 있어 문제가 없으나, Rolling Start의 경우 같은 시간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은 황색현시 중에 교차로를 벗어날 수 있으나, 자전거는 교차로를 벗어날 수 없어 다른 교통류와 상충을 피할 수 없게 된다.
Ⅰ. 서론
Ⅱ. 문헌조사
Ⅲ. 자료수집 및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