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도로설계 안전성 관련 연구들은 주로 교차로에 집중되어 있으나 도로구간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지방부 도로는 주변 지형의 영향을 받아 발생된 도로가 많기 때문에 도로선형에 있어서 종단경사, 횡단경사, 곡선반경 등의 변화가 도시부에 비해서 크게 나타나 교통사고 노출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관련연구는 단순히 교차로 사고예측모형 개발의 연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도로구간에서의 교통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교통사고예측모형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개발된 사고예측 모형을 토대로 해당지역의 교통사고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들 요인들을 개선함으로서 도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관련 의사결정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고예측모형 개발에 있어 실질적으로 도로의 안전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하고 이들 변수들에 대한 안전성 개선 사업의 우선순위 수립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개별 변수들의 교통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결정함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부 도로구간에서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교통사고 위험도 분석
Ⅳ.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