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는 지형의 특성상, 도로계획시 터널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터널현황을 보면 2008년 12월 31일 기준 총 1,152개소(상ㆍ하행) 805㎞에 해당된다. 이것은 2002년 583개소, 378㎞이었던 것에 비해 약 2배 정도인 569개소, 427㎞가 더 늘어난 것이다. 터널증가의 원인으로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터널설치를 권장하며, 통행시간 절감, 주행의 쾌적성, 터널시공 기술의 발전 등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터널이 증가하면서 터널의 길이도 점점 장대화 되어가고 있다. 전체 터널 중 고속도로에 위치한 터널은 45%인 518개소, 406㎞에 해당하며, 이 중 장대터널에 해당하는 1,000m 이상인 터널은 17%인 88개소, 167㎞ 이다. 장대터널은 1994년 영동선에 마성터널이 준공된 이후로 2008년 평택~제천선에 준공된 안진터널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긴 터널은 중앙선에 위치한 죽령터널이 4.6㎞로서 터널의 장대화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지금까지의 터널에 관한 연구는 장대터널이 아닌 비교적 짧은 터널의 교통류 특성 분석이나 연속된 터널에 대한 속도변화특성, 용량보정계수 산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져 왔으며, 터널내부에서의 변화보다는 일반구간과 터널구간을 비교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Ⅰ. 서론
Ⅱ. 자료의 수집 및 처리과정
Ⅲ. 장대터널의 교통류 분석
Ⅳ. 장대터널의 용량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