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화물기반모형의 화물자동차 수요 추정시 화물자동차대수 산정에 관한 연구

  • 15
132753.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화물교통수요 추정 중 화물기반모형의 전통적 4단계 접근방법은 화물의 이동을 통해 화물 자동차 수요를 예측하기 때문에 추정된 화물물동량을 화물자동차 통행량으로 전환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 단계는 여객교통수요 추정의 평균재차인원을 적용하여 사람통행을 차량통행으로 전환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화물교통에서는 평균적재량을 적용하여 추정하는 적재통행량 뿐만 아니라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이동하는 공차통행량을 별도로 추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차통행은 전체 통행의 약 30%~40%정도를 차지하며, 이를 추정하기 위해 국외에서는 7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개별공차통행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간단한 공차통행율 등의 간단한 개념을 이용한 사례들만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5년도 제3차 전국물류현황조사의 화물자동차 통행실태조사자료 중도시내 화물자료를 이용하여 공차통행 추정 방법뿐만 아니라 화물물동량을 화물자동차 통행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이하 ‘화물자동차 통행 산정방법’이라함)을 국내의 일반적인 방법과 개별공차통행을 이용한 방법을 비교하여 국내 방법론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화물자동차 통행 중 추정이 어려운 공차통행에 관한 특성을 살펴보았다.

Ⅰ. 서론

Ⅱ. 기존문헌 고찰

Ⅲ. 화물자동차 공차통행 특성 분석

Ⅳ. 화물자동차 O/D 구축

Ⅴ. 화물자동차 O/D 비교분석

Ⅵ. 결론 및 향후연구과제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