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우리나라 통계청의 “2014 고령자 통계” 자료에 의하면 5가구 중 1가구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가구주인 고령가구이고, 2014년 현재 638만 6천명인 12.7%에 달한다고 한다. 또한 12년 후에는 인구의 5명 중 1명이 고령자인 시대 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고령자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개인별 경제적인 어려움과 건강문제 이다. 이러한 개개인의 문제들은 사회적 행태의 변 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 령화 지수의 급격한 증가는 통행행태의 변화를 가 져와 미래교통체계에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보인 다. 실례로 현재에도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고령 자의 교통사고 문제가 더욱 부각되어 현재까지 긍 정적인 효과가 있는 “교통사고 줄이기 운동” 정책 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사실상 고령자 교통문제 대책은 다양한 형태로 제시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 서는 그러한 해법들 중의 하나로 ICT (정보통신 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을 기반으로 한 신규 기술의 발굴을 통하여 고령자의 통행지원 서비스에 관심을 두고 있다. 최근의 2014년 7월 한국갤럽 조사에 의하 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60대 이상 고령자 비율은 37%에 달하고 50대 이상은 80%에 달하였다. 시 간이 흐를수록 잠재적 고령자 그룹은 점차 증가되 는 경향과 스마트폰 구입비율 역시 증가됨에 따라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비율은 비고령자 그룹 수 준인 90%이상까지 달할 것으로 보인다.
서론
고령자와 FGI기반 사용자 이해
고령자 대상 심층설문조사
고령자 특화된 서비스 선호의향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