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연구는 교통시스템 측면에서 카셰어링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카셰어링 서비스의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추정하 고 도입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카셰어링 서비스의 잠재 이용수요와 이 용 통행량을 추정하였고, 추정된 이용수요와 통행량을 활용하여 통행비용 감소효과, 통행량 감소효과, 차량 보유 감소효과 등의 도 입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하고 카셰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만 통행비용 감소효과가 발생하는데, 차량 구입비용이 클 경우 통행비용 감소효과는 증가하고 평균 통행거리가 길수록 통행비용 감소는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카셰어 링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개인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통행이 줄어들기 때문에 통행량이 약간 감소하는 효과를 기 대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에 보유한 차량을 매각한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통행량 감소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 로 분석되었다. 보유 차량을 매각하거나 신규 차량 구입을 보류함에 따라 차량 보유대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나타나는데, 6만 8천 대 정도의 카셰어링 차량을 운영할 경우 80만대 정도의 보유 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친환경차량과 소형 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사 람들은 카셰어링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불가능하던 통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이동성 향상 효과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Ⅰ. 서론
Ⅱ. 카셰어링 서비스의 운영사례 분석
Ⅲ. 카셰어링 서비스의 이용수요 추정
Ⅳ. 카셰어링 서비스의 도입효과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