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속차로는 설계속도가 상이한 도로로 이동하는 경우, 차량 운전자가 안전하게 가·감속할 수 있는 여 유시간 및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차로이 다. 자동차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기 위해 설치하 는 변속차로는 고속도로가 서로 교차하는 분기점 (Junction)이나 고속도로가 국도, 지방도 등의 부도로 와 만나는 나들목(Interchange)의 합류·분류부에 설 치된다. 이러한 가감속차로는 본선과 연결로 교통류 간의 상충이 발생하는 구간으로 차로변경, 가·감속으 로 인한 난류현상으로 차량의 지·정체를 유발한다. 현행 가감속차로의 설치기준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제 35조에 의거하여 본선과 연결 로의 설계속도에 따라 최소길이를 제시하고 있다. 변 속차로 길이설정에는 차로수 및 도로의 용량, 구조적 형태, 교통량, 운전행태 등의 요인이 고려되어야 한 다. 특히 감속차로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줄어들기 때 문에 교통량이 증가할 경우 대기행렬이 발생하게 된 다. 따라서 분류부에서는 교통량이 고려되지 않을 경 우 변속차로를 초과하여 고속도로 본선구간의 차량 통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비효율적인 길이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입체교차구간의 감속차로 적 정길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류부 교통량에 따른 차 량 지체 길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교통량에 따른 감 속차로의 적정 길이를 제시하여 향후 감속차로 설치 나 기존에 지·정체가 발생하는 변속구간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설계기준을 마련하고 고속도로 교통 류의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본론
1. 감속차로 설치기준
1) 국내 감속차로 설치기준
2) 미국 감속차로 설치기준
3) 감속차로 설치기준 비교분석
2. 교통량에 따른 감속차로 적정길이 분석
1) 분석범위
2) 분석방법
3) 분석결과
Ⅲ.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