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서비스 수준별 바이모달트램 정거장 도입 방안 연구

  • 5
132801.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저비용·고효율 도시교통수단으로 개발된 바이 모달트램이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 바이모달트 램은 서비스 수준에 따라 인프라의 선택적 적 용이 가능하다. 바이모달트램은 대도시의 보조 간선수단, 중소도시의 주간선수단 그리고 최근 도시교통문제를 해결하는 유효한 수단으로 기 대되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로의 활용이 기 대되고 있다. 그러나 바이모달트램을 BRT로 할용할 경우 에는 서비스 수준과 비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형태가 선택되어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 원칙 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바이모달트램을 경 전철의 대체수단으로 무분별하게 활용하거나, 일반버스와 혼용 운행하는 경우에는 비용에 비 해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거나, 안전성도 보장할 수 없다. ‘간선급행버스체계 설계지침’에서는 BRT를 서비스 수준에 따라 일반형과 신교통형으로 분 류하고, 각각에 따라 적절한 차량과 인프라 요 소를 설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간선급행버스 체계를 구성하는 인프라 요소에는 전용선로, 정 거장, 운영관리시스템, 환승센터 등 여러 가지 가 있지만, 정거장은 승객의 편의성과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정거장은 이용객의 접근성 확보에 중요한 요소 이며, 승하차시 이용객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 하기도 한다. 또한 타이어분진 등으로 인하여 이용객의 건강문제, 귀가길 여성의 안전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된 적도 있다. 바이모달트램 정거장은 자동운행, 정밀정차를 하는 차량특성을 반영하고, 설치비용과 서비스 수준별 다양한 적용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모달트램 정거장의 기능적 특징과 성능을 소개하고, 간선급행버스체계 설 계지침에 따라 비용과 서비스 수준 측면에서 여러 가지 정거장의 설치방안을 제시하였다.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바이모달트램 정거장

1. 바이모달트램 서비스 수준

2. 바이모달트램 정거장의 기능과 성능

3. 서비스 수준별 정거장 설치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