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금탄력성이란 통행요금의 변화비율에 대한 교통수요의 변화비율을 의미하며 교통부문에 있어서 가격변동에 따른 수요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러한 요금탄력성 중에서도 고속도로의 화 물차 요금탄력성은 국내화물수송에 있어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2009년 국내화물수송수단 별 분담률중 도로가 차지하는 비중은 74.1%이 고 이중 40.7%가 고속도로로 국내 화물수송의 1/3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고속 도로의 요금탄력성을 알게 되면 요금변화에 따 른 수요의 변화를 알 수 있으므로 요금정책들 에 대한 실증적 추정과 검증이 가능할 뿐만 아 니라 화물관련 정책결정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 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한국도로공사의 요금정책은 1∼5종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각 차종별로 탄력성을 알아보 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1∼3종의 경우 화물 자동차, 승합차, 버스, 승용차가 복합적으로 이 루어져있기 때문에 화물관련 정책결정에 필요 한 승용차나 화물자동차만의 요금탄력성 분석 은 크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와 화물자동차 의 고속도로 요금탄력성을 분석해 봄으로서 향 후 화물과 관련된 정책들을 고려하는데 기초자 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기존 연구 검토
1. 국내 유료도로 요금 탄력성 연구
2. 국외 유료도로 요금 탄력성 연구
Ⅲ. 고속도로 요금 탄력성 분석
1. 분석자료 구축
2. 고속도로 요금 탄력성 분석
Ⅳ.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