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에 관한 연구 : 연계경험 및 예측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3
132852.jpg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조합하여 규정하고, 이들간의 연계경험과 연계실태 및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 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삼각측정방식(triangulation)으로 진행되었다. 근거이론에 바 탕을 둔 Strauss & Cobin의 절차에 따라 한 지역을 선정하여 담당자들의 연계경험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122개 기관의 연계실태와 연계시도요인, 연계강화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연계 경험은 ‘다른 기관에 관심돌리기’, 즉 ‘협력추구’과정을 도출되었으며, 협력추구유형으로는 ‘주도형․협 조형․권위형․반응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계실태는 전반적으로 Tobin(1986)의 연계긴밀도 5단계에 따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들은 3단계 조정(Coordination)이 필요한 시기로 나타났으며, 정신 보건기관과 전통적 재활기관사이에는 ‘협조(Cooperation)’가 정신보건기관간, 전통적 재활기관간에는 ‘조정’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시도'와 '연계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구성을 개 인요인과 조직요인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중다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한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조직의 ‘자원의존도’가 높을수록 연계시도를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현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관련기관 사업인지도’ 가 높을수록, ‘정신장애인 이해를 위한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조직에 ‘직업재활전담인력’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정신장애인 직업재 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조사결과

5.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