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자료
1960년대 이래 급격하게 진전되어 온 산업화와 현대화의 기치 속에서 내부적으로 파묻혀 온 여러가지 사회문제들이 1990년대 우리사회에서 심각하게 우려할만한 상태로 나타나고 있다. 가족의 해체와 개인의 소외, 부적응, 가치관의 붕괴 등이 우리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게 되었으며 개별적인 면담만으로 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을 만큼 문제를 안은 개인과 가족, 집단의 수효가 늘어나고 있다. 이제 그 영향 아래 우리 사회의 개인과 가족은 인간의 신체적,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주는 스트레스가 만연된 사회에 살게 되었다. Hartford(1983)나 Papell(1983)이 지적한 것처럼 집단 참여의 바람직한 결과로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발전이 궁극적으로 도모된다고 본다면 이 시점에서 한국 실정에 맞는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을 개발해보는 시도는 여러 측면에서 의의가 있는 일이라 볼 수 있다.
Ⅰ.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Ⅳ.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사회사업프로그램의 개발
Ⅴ.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