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저출산·고령화 사회로 인한 외국노동력 증 가, 동포의 유입, 유학생 증가와 더불어 국제결혼에 의한 다문화 가족 증가 등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짧은 기간 내 다문화 사회로 이행된 특징을 가진 사회이다(강준혁, 2012). 단일민족에 대한 인식이 확고한 한국사회가 국민적인 합의나 이해 도출이 거의 진행되지 못한 상태에서 다문 화 사회로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다문화 현상에 대한 사 회적 논의가 요구된다(박근수, 신희정, 2012; 황윤영, 이 은숙, 2013).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에 대한 논의는 다문 화 대상자에 대한 인권보장과 차별에 중점을 두고 다문 화 사회를 계기로 세계화에 부합하는 국민의식의 성장을 통해 앞으로 국가발전을 어떻게 이루느냐에 중점을 두어 야 한다(서범석, 2010).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