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치료적 공연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한 연극치료 작업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자기를 발견하고 인식하는지를 알아보고 결과적으로 청소년들 의 미래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자아 정체성 형성과 자아 가치관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 4명으 로 구성되었으며 2010년 4월 24일부터 2011년 2월 19일까지 총 33회기의 연극치료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치료과정 중에 일어나는 변화를 분 석하였고 역할 프로파일과 자아 가치관 검사를 사전, 사후 검사로 실시하여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과정은 치료적 공연 형식으로 진행되었는데 극 활동과 투사 작업을 통해 참여자의 삶을 돌아보고 문제적 행동의 원인을 찾아내어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자기 이야기를 대본화하여 공연을 제작하는 흐름으로 이루어졌 다. 작업은 크게 5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첫 번째는 공연 전 단계로 연 극치료의 적응을 돕고 집단 응집력을 위한 작업이 주를 이루며, 두 번째는 공연 준비단계로 그 동안의 작업으로 발견한 자기 문제를 탐험하여 상연화 할 대본을 만든다. 세 번째는 대본을 바탕으로 한 극 작업을 통해 공연의 틀을 완성하는 연습 단계이며 네 번째는 공연, 마지막은 공연과 연극치료의 작업을 성찰하고 피드백 하는 마무리 단계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연극치료 작업 후 실시한 자아 가치관 검사 결과 연극치료를 통한 자기 발견이 자아 가치관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아 정체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역할 프로파일 검사 결과 연 극치료를 통한 자기 발견이 자아 정체성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치료적 공연 제작 과정 중심 연극치료 작업 을 통해 자신의 억압된 감정 및 욕구, 방어기제, 문제적 행동, 원인, 인간관 계와 직면할 수 있었다. 이런 과정은 참여자들에게 변화하고자 하는 삶의 의지와 동기를 부여해주었다. 넷째, 자아 가치관 검사 결과와 작업 도중 시행한 ‘바리데기’ 여정 작업 을 통해 치료적 공연 제작 과정 중심 연극치료 작업이 문제 해결 능력에 긍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치료적 공연 제작 과정 중심 연극치료 작업은 참여자들이 과거 에 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신분석
2. 치료와 연극의 상관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설계
Ⅳ.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