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년 연극치료 사례 연구

  • 407
커버이미지 없음

이 논문은 캠프에서 이루어진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 년 연극치료 작업 결과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PIL 사전 사후 검사에 비추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캠프의 공연과 조별작업은 삶의 의미 찾기라는 부제 하에 진행되었고 그 것을 위해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죽음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부각되었다. 죽 음은 삶을 돌아보게 해주고 자신의 인생을 보다 책임 있게 바라볼 수 있도 록 돕는다. 사전 사후 검사도 인생의 의미와 삶의 만족을 묻는 삶의 의미 척도 검사(PIL)를 진행하였다. 본론에서는 PIL 검사 항목과 연극치료 작업 에서 보여준 참여자의 변화를 상세히 서술하고 캠프에서 이루어진 PIL 사 전 사후검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참여자 A는 사전검사에서 20가지 항목의 7점 척도에서 93점의 점수가 나왔고 사후검사에서는 105점으로 12점이 올랐다. 참여자 A는 자신의 삶으 로부터 도피하는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은 연극치료 작업에서도 진 지하게 자신을 보는 것을 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나중에는 ‘의지’ 라는 단어를 처음 알게 되었다고 말하며 자신의 인생을 책임있게 받아들이 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A는 자유를 다룬 세 가지 항목(13,14, 18)에서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동일하게 1점씩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자살을 다 룬 항목에서는 2점의 변화가 보였다. 자유와 책임과 자살에 관한 생각에서 일관되게 생각이 바뀌었는데, 이는 연극치료 작업과정에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던 데서 자기 것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으로 나아간 점과 일치한다. 참여자 B는 사전검사에서 20가지 항목의 7점 척도에서 74점의 점수가 나왔고 사후검사에서는 89점으로 15점이 올랐다. 각 항목별 사전 사후검사 결과와 연극치료 작업과정에서 보여준 모습과 일치하였다. 소외를 벗어나 기 위한 방법으로 자아 경계를 약하게 만들면서 타인(어머니)의 일부가 되 어 어머니를 위해 사는 B는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연습을 하였다.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는 책임회피에서 책임 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타인의 소망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연습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 PIL 검사를 항목별로 분석하여 그 결과가 연극치료 작업에서의 참여자의 변화와 동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