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DvT) 연구

  • 294
커버이미지 없음

현재 연극치료에는 다양한 치료모델이 존재하고 있고, 여전히 새로운 모 델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연극이 지니는 종합예술의 특징과 전문가들의 치 료 기법 및 성향에 따라 연극치료 모델은 지속적으로 생겨날 전망이다. 그 가운데 존슨의 주도로 연구되어 온 발달변형모델은 그 동안의 연구와 성과 에 힘입어 명칭이 공식화 되었고, 실제 임상에서도 자주 적용되고 있다. 존 슨은 정신병동을 방문하여 정신분열이나 치매와 같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 는 환자들과 접하면서, 그들이 자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즉흥적인 연극놀이 와 역할연기를 실시하면서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의 잠재력을 발견하 였다. DvT는 기존 연극론은 물론 종교, 철학, 심리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 다. 예를 들어 존슨은 발달심리학, 정신분석학, 인본주의 심리학 등을 연구 하였고, 현존재의 문제를 다루는 실존주의와 불변의 진리를 해체시킨 해체 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도 사유의 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불교사상의 제 행무상(諸行無常)의 영향을 받았으며, 몸과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춤 치료에도 주목한다. 연극과 관련된 것으로는 그로토프스키 가난한 연극 론과 스폴린의 연극놀이에 힘입은 바 크다. 발달변형모델은 다음의 사항을 중시한다. 첫째, 각 치료회기는 전적으로 치료사와 참여자 사이에서 연극적이고 즉흥적인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연극과 즉흥성을 교합하면 즉흥극이 된다. 즉 DvT는 치료사와 참여자가 즉 흥극을 만들어가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둘째, 치료사는 연극놀이 (play)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치료사는 촉진자나 안내자이기보다는 스스로 몰입상태가 되어 참여자의 연극놀이 공간에 개입한다. 셋째, 연극놀이는 참 여자가 지니고 있는 근원적인 불안의 심리적 구조를 완화시키거나 없애도 록 하는데 활용된다. 연극놀이는 연극을 일종의 놀이로 작용시켜 참여자의 유쾌한 에너지를 확장시키고 심리적 저항감을 완화시킨다. 넷째, 치료가 제 대로 진행된다면 참여자는 스스로 정서적 건강을 이끌어내는 자연스러운 과 정에 믿음을 갖게 된다. 참여자는 치료사와 즉흥적인 연극놀이를 하면서 자 신에게 해당하는 발달과정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보면 DvT 는 체현과 만남 그리고 연극놀이에 장애를 겪고 있는 것을 치료하는 것이 된다. 이처럼 DvT의 핵심 용어는 변형(Transformation), 체현(Embodiment),

Ⅰ. 들어가며 Ⅱ. DvT와 발달심리학 그리고 변형 Ⅲ. 자유연상(free association)과 즉흥극 Ⅳ. 만남: 대상관계이론, 실존주의, 가난한 연극 Ⅴ. 발달변형모델의 이론 Ⅵ. 나오며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