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적 개입

  • 269
132973.jpg

본 연구는 연극과 심리학적 이론에 내포된 파괴성의 의미를 바탕으로, 연극치료 치료적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파괴성의 치료적 의의와 파괴 성을 활용한 개입으로 참여자의 긍정적 변형을 가져오는 작동 방식을 자기파괴성향 참여자의 연극치료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와 적응상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한 파괴성의 결 과인 갈등, 고통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외부에서 찾게 되면 그 대상에 대하여 의심하고 분노하는 등의 감정적 역동이 일어나며, 그 결과 외 부의 대상에 대하여 심리적이거나 물리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또 한 이러한 파괴의 방향이 자기 내부를 향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 심리 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수치심과 죄책감을 동반하는 우울이나 자해, 자살시도, 극심한 불안에 의한 강박행동, 약물 과다복용, 섭식 장 애 등에서 볼 수 있는 자기파괴적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관 련하여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비롯한 대상관계 심리학 이론은 초기 유아기에 경험하는 대상과의 관계불안을 기초로 이러한 병리적 현상 즉, 과도한 공격성과 관계적 회피를 포함한 자기파괴적 성향의 발생근거를 잘 설명해준다. 선과 악이 고정되어 있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사회 에 의해 조건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파괴성’ 또한 개인의 도덕적 완고 함, 비타협성, 관계의 회복과 변화의 여지를 외면하는 경직된 비합리적 사고를 무너뜨리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견고함이 주는 억 압적 ‘폭력성’을 ‘파괴’한다거나 상징적으로 ‘죽음’을 ‘죽이는’ 행동을 통 하여 결과적으로 파국으로의 방향에서 돌이켜 ‘삶’과 ‘자유’를 향한 가 치의 전도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가치의 전도 즉, 파괴성의 긍정적 활용성은 인간의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적응을 지향하는 연극치료의 작업과정에서도 치료적 개입으로 작동할 수 있다. 연극치료 작업 과정 중에 나타나는 ‘파괴성’은 현실 생활 속에서 파괴의 결과가 야기할지도 모르는 두려움과 고통스러운 결과의 실제적 감내 없이, 극적 공간에서 필요성(치료적 목표)에 따라 계획된 의도적인 과정으로 충분히 경험함 으로써 참여자로 하여금 이러한 파괴가 주는 긍정적 측면을 안전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파괴 성향의 변형을 위한 치료적 과정은 자기 안에 억압되어 있던 파괴적

Ⅰ. 서론

Ⅱ. 파괴성과 연극치료

1. 파괴성이란

2. 파괴성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 멜라니 클라인 이론을 중심으로 -

3. 파괴성과 연극치료

Ⅲ. 자기파괴성향의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적 개입

1. 자기파괴성향의 참여자 사례

2. 자기 파괴 성향의 변형을 위한 치료적 과정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