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치료 기초실습과정 수료자의 내부 통제성, 대인 관계, 행복 증진에 미치는 효과
- 한국현실치료상담학회
- 현실치료연구
- 제5권 제1호
-
2016.0637 - 54 (18 pages)
- 34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치료 기초실습과정 수료자의 내부 통제성과 대인 관계, 행복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K대학 상담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 하여 18명을 선정하였고 그들 중 기초과정을 수료한 사람 9명을 통제 집단, 기초 과정을 수료한 후 기초실습과정 에 참가한 9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혼합적 방법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 조사 와 인터뷰, 적용사례로 하였다. 양적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는 내부 통제성 척도, 대인 관계 척도, 단 축형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공분산 분석으로 하였다. 또한 기초실습과정을 경험 한 실험집단의 개인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뷰와 적용사례를 질적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과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연구에서 첫째 기초 실습과정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내부 통제성 수준이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초실습과정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수준은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실습과정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행복 증진은 통제집 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는 현실치료 기초실습과정에 참여한 실험 집단은 첫째 ‘일관성 있게 꾸준히 적용과 훈련하기’로 실험집단의 내부 통제성이 증진되었다. 둘째 ‘상대방과 서로 다른 바람일 때 해결책 찾기’와 ‘관계를 좋게 하는 행동하기’를 반복하여 실험 집단의 대인관계가 증진되었다. 셋째 대인 관계가 증진되어 갈등이 줄어들고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어 성취 감을 느끼고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초실습과정 수료자의 내부 통제 성과 대인 관계, 행복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