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2995.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단칠정(四端七情)의 철학적 의의

  • 172

주자의 이기론은 理와 氣 사이의 ‘불리불잡(不離不雜)’이라는 이원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 말은 곧 理와 氣는 구체적인 측면에서는 하나로 섞여 있어서 나눌 수 없지만, 추상적인 측면에서는 이 둘은 확연히 구분된다는 것이다. 또한 심성론의 측면에서 주자는 이기론적 구조를 근거로 성(性)과 정(情)의 관계를 이기(理氣)의 관계로 이해하여 심(心)으로 이를 통괄하고 있다. 사칠논변과 관련하여 율곡이 주자의 본의에 충실하여 氣에만 활동성을 부여했던 것에 비하여 퇴계는 '불잡((不雜)’의 측면을 특별하게 강조하고 '‘理의 활동성(理之發)’을 주장하였다. 율곡의 이해에 의거하면 '발어리(發於理)’란 ‘성(性)이 발하여 정(情)이 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율곡은 理가 활동할 수 없다는 기본적 관점을 근거로 퇴계의 '이기호발(理氣互發)’ 및 '이발이기수(理發而氣隨)’의 설을 비판했다. 주자성리학의 맥락에서 이른바 '이유동정(理有動靜)’이란 리가 동정을 포괄하는 의존처가 된다는 말이지 理 자체가 동정한다는 말은 아니며, '기유동정(氣有動靜)'이란 氣 자체의 동정을 말한다. 퇴계는 '기유동정'의 '유(有)'의 의미를 가지고 '이유동정'의 유(有)를 해석함으로써 동정을 理 자체의 동정으로 보고 있다. 이는 주자학에 대한 오해라기보다는 퇴계철학의 창조성으로 볼 수 있다.

Ⅰ. ‘理’는 움직일 수 있는가? - 주자 이기론에 관한 이퇴계의 해석

Ⅱ. 사단칠정 문제와 비교윤리학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