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범주론􋺸은 중세를 거치면 서 주로 논리학적인 저작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범주론􋺸은 논리학적인 저작일 뿐만 아니라 형이상학적인 저작이기도 하 다. 이를 보이기 위해 본 논문은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형이상학적인 어려움이 어떻게 􋺷범주론􋺸에서 해결되는지를 살펴보며, 또한 􋺷범주론􋺸에서 나타나는 실체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 논문은, 􋺷범주론􋺸이 왜 형이상학적 저작인지를 설명하도록 할 것이다.
1. 서론
2. 『파르메니데스』에서의 이데아
3. 플라톤의 이데아는 어떤 어려움을 낳는가?
4. 이데아론의 문제점들은 어떻게 해결 가능한가?
5.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체
6. 관계
7.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