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00.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자의 소요유(逍遙遊)와 정치적 자유

  • 159

장자(莊子)와 곽상(郭象)은 소요론을 통해서 각자의 자유론을 전개했다. 유소감 교수는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의 자유이론에 비추어 보면 이들의 자유론이 결국 근대적 자유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정신적 체험에 기초한 소극적, 도피적 자유 관에 불과하다고 평가한다. 즉 비록 양자가 갖는 차이점에도 불 구하고 근대적 관점에서 보았을 적에 양자 모두 정치적 자유와는 무관한 출세주의(出世主義)의 양식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전통과 근대라는 고정된 도식을 중국적 사유에 거 칠게 덧쒸운 것이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장자철학이 현실과의 불 화에서 탄생한 비판정신의 산물이라는 점을 간과했으며, 곽상철 학이 방외(方外)와 방내(方內)의 통일을 모색했고 독화론을 통해 주체관념을 발전시켰다는 점을 소홀히 했다. 또한 그들이 강조하 는 ‘부득이(不得已)’의 관점 역시 외적 구속에 대한 수동적 체념 이 아니라 주체의 덕성에 기초한 적극적 자기완성을 표방하는 인 생관을 담고 있다. 따라서 장자와 곽상의 소요론을 내심의 자기 만족 또는 현실과의 적당한 타협을 조장하는 전근대적이고 부정 적인 유산으로 단정할 수 없다. 비록 견강부회를 통한 옹호는 피 해야 하지만 현대적 관점에서 장자철학이 갖는 적극적 면모나 현 실적 가치를 보다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Ⅰ. 들어가는 말

Ⅱ. 장자철학의 정치적 함의

Ⅲ. 소요유와 자유의 관계

Ⅳ. 곽상철학의 현실포용적 특질

Ⅴ. 필연성에 대한 장자의 이해

Ⅵ. 독화론과 개체의 관계

Ⅶ.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