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11.jpg
KCI등재 학술저널

적인가 동지인가?

  • 29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Contra Academicos가 아카데미아의 회의주 의를 어떻게 비판하고 있으며, 플라톤 철학의 전통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밝히 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카데미아 회의주의의 여러 견해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Contra Academicos의 논증구조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① 아우구스티누스는 카르네아데스의 논변을 일차적인 논박 대상으 로 삼고 있다. 카르네아데스의 논변이 전적으로 독단주의를 논박하기 위한 변증적 논변인지(클리토마코스의 입장) 아니면 회의주의자 자신의 견해인지(메트로도로스의 입장)에 관해 논란이 있었으나, 아우구스티누스는 카르네아데스의 논변(특히 대상의 파악불가능성과 판단유보)은 젊은이들로 하여금 진리탐구를 포기하도록 유도하며 결국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데 장애물이 된다고 여겼다. ② 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 에 따르면, 회의주의자들은 대상의 파악불가능성을 주장하면서도 그들 스스로도 그 런 주장을 믿지 않았다. 결국 회의주의 논변은 제자들의 학습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수단이었을 뿐이며, 아카데미아 철학자들은 명민한 후손을 위해 플라톤 철학의 진 수를 숨겨 두었다. 즉 라리사의 필론이 주장했듯, 구아카데미아와 신아카데미아의 구별은 무의미하며, 아카데미아의 철학적 전통은 훼손되지 않은 채 그대로 유지되 었으며 숨김의 방법에 의해 전승되었다. ③ 이렇게 볼 때, 비록 아우구스티누스가 Contra Academicos 3권 중반까지 아카데미아 회의주의를 비판하고 있지만, 그가 진정으로 의도한 것은 회의주의를 완전히 논박하는 일이 아니라 아카데미아 회의주 의 논변의 숨은 목적이 무엇인지 밝히는 한편, 회의주의 논변의 잘못된 사용에 대 해 경고하는 것이었다. 물론 플라톤철학의 전통과 숨김의 가르침에 관한 아우구스 티누스의 해석이 얼마나 타당성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아우구스티누스가 보기에 회 의주의는 행복한 삶의 획득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인 동시에,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위해 끌어안아야 할 대상이었다.

1. 시작하는 말

2. 아카데미아의 회의주의

3. 회의주의자도 행복할 수 있는가 (Contra Academicos 제1권)

4. probabile가 우리의 행동을 성공으로 인도하는가 (Contra Academicos 제2권)

5. 진리는 인식가능하다 (Contra Academicos 제3권)

6. 아카데미아의 철학적 전통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비판과 수용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