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18.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론肇論』 「물불천론物不遷論」에 나타나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적 논의 성격

  • 63

이 논문은 승조의 조론 물불천론 에 보이는 설일체유부적 논의의 기원 을 추적 분석하는 글이다. 일반적으로 승조는 쿠마라지바의 중관철학을 중국에 뿌 리내리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의 글 조론의 물불천론 은 그 논의 방식이 중론의 저자 나가르주나가 극복하고자 했던 설일체유부의 논의 방식을 재현하고 있다는 의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글은 역사적으로 이러한 승 조의 물불천론 논의방식 출현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이는 세 가지 사유양태 를 제시하고 분석해 보았다. 그 세 가지는 초기 중국불교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중 앙아시아 설일체유부의 이론과 위진시대 현학의 유무 논쟁 그리고 승조의 불완전한 중론 이해 가능성이다. 승조는 물불천론 에서 설일체유부가 사태를 시공간적으로 무한 분할하여 고립시켜 그렇게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한 현상을 왕필이 본무(本無) 개념을 적용 소극적, 부정적, 정적으로 파악한 세계의 본체(本體)와 동일시하여 그 부동성(不動性, 物不遷)을 더욱 강하게 정립시키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곽상의 독화론에서는 보이는 차별적 현상의 개별 고립화 경향에 영향을 받아 설일체유부의 현상의 단자화(單子化) 설명방식을 쉽게 수용했을 가능성도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 서 보면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오독(誤讀)을 일으킨 중론의 난해성을 승조가 온전히 극복하여 이해했을 것으로 전제하기는 매우 어렵다.

1. 들어가는 말

2. 승조 이전 설일체유부 이론의 중국 유입 정황 및 번역 문헌

3. 4세기 말 번역된 설일체유부 문헌 중 물불천론 관련 사례 문장 분석

4. 위진(魏晉) 시대 유·무(有·無) 논쟁(論爭)의 철학적 특성

5. 『물불천론』과 관련하여 본 『중론』의 철학적 목표 이해

6. 『물불천론』 분석: 승조의 고립적 존재규정 방식의 연원과 내적 의미 추적

7.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