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고대 유가와 법가는 권세 혹은 권력에 대해 대립적 입장을 갖는다. 그러 나 그 차이는 단순히 권세를 전적으로 부정하느냐 혹은 긍정하느냐로 설명되지 않 는다. 본고는 순자와 상군서를 중심으로 세의 함의들을 우선 추출하고, 이를 통해 중국 고대 문맥의 권세 개념에 최대한 접근한다. 그리고 순자와 상앙의 권세 에 대한 입장이 정확하게 어떻게 대립하는지를 고찰한다. 그 입장 차는 결국 인간 과 이상적 사회상에 대한 상충된 이해에 기인함을 보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순 자는 정확히 어떠한 의미에서 권세로 남을 억누르는 것이 부도덕하다고 보았는지 밝혀 보겠다.
1. 머리말
2. 세(勢)의 의미: 상군서와 순자의 맥락에서
3. 상군서에서 세(勢)의 정당성 문제
4. 권세에 대한 상군서와 순자입장의 대척점
5. 순자가 권세로 누름에 대해 반대하는 근원적 이유
6. 맺는말: “학이 높다란 언덕에서 우니…”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