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24.jpg
KCI등재 학술저널

「戴震의 善」에 대한 논평문

  • 11

이호영 박사는 논문에서 대진의 철학을 "중국철학의 원천인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윤리학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세워진 형이상학"이라고 정의하면서, 대진 철학의 목적은 바로 성인, 즉 종래의 성리학에서 말하는 리(理)의 담지자로서의 성인과는 다른 형식의 새로운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상을 제시하려는 것이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천도와 인도의연관성을 밝히고, 인간은 신체, 혈기(血氣), 심지(心知)라는 세가지 성질을 공통적으로 지니는 유적 존재로서 다른 동물과는 달리 도덕행위의 주체임을 지적하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