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28.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산 정약용의 ‘청렴관’에 대한 일고찰

  • 118

본 연구의 목적은 ⌈목민심서⌉?⌈율기⌉ 편을 중심으로 다산 정약용의 청렴관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청렴에 대한 유가의 기본 입장을 검토하였다. 유가에서는 청렴을 소선(小善)으로 여겼으면서도, 제대로 실천하지 못할 경우 그것은 대죄라고 보았다. 그리고 청렴을 신중함이나 분별력 등과 연관시켜 풀이하였으며, 효제(孝悌)로 대표되는 인륜보다는 하위 덕목으로 간주하였다. 조선의 대표적인 유자였던 이황과 이이는 청렴을 사회 규율의 원리이자 개인 처세의 지침으로 강조하기도 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청렴에 대한 정약용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는 청렴을 목자(牧者)가 행하는 모든 선과 덕의 원천이라고 보았으며, 이 덕목의 이행이 실질적인 이득까지 보장한다고 여겼다. 또한 청렴의 실천 과정에서 아무런 효과도 없는 무조건적인 청렴의 고수, 일시적인 청렴을 자랑하는 행위, 뇌물 수령 등을 경계하였으며, 청렴이 제대로 구현된다면 사회 공동체의 이익 및 행위자 개인의 삶에서 윤기(潤氣)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약용이 제시한 청렴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목민심서⌉?⌈율기⌉ 편을 채우고 있는 각 조의 내용들에서 잘 나타나는 바, ⓐ 자기 단속, ⓑ 집안 단속, ⓒ 청탁 거절, ⓓ 근검?절약, ⓔ 베풂 등이 그것들이다. 이 다섯 가지 요소들은 각각 하나의 덕목이자 도덕 영역들이며, 청렴을 중심으로 상호 구성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약용의 청렴관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를 특히 교육 분야와 연결시켜 두 가지 밝혔다. 한 가지는 청렴에 대한 정약용의 인식이 현재 학교 교육에서 부족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청렴의 의미 규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그가 제시한 청렴의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가 학교 청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I. 머리말 II. ‘청렴[廉]’에 대한 유가의 기본 입장 III. 청렴에 대한 정약용의 인식 IV. ⌈목민심서⌉?⌈율기⌉ 편에 나타나는 청렴의 구성 요소 V.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