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자(告子)는 인성(人性)에는 선(善) 또는 악(惡) 일변(一邊)으로의 정해진 방향성이 없다고 주장하는 데 반하여, 맹자(孟子)는 인성(人性)에는 선(善) 일변으로 의 고정된 방향성이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자에 대비되는 맹자의 성(性)에는 선(善) 일변으로의 고정된 방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 하는 지를 밝히고, 양자의 주장에 국한시켜볼 때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은 고자의 입장이 갖고 있는 난점을 해결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비교우위에 있다는 것을 보 이고자 한다. 맹자의 인성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 옳은지를 판단하고 또 자발적으 로 옳은 행위를 실천해가는, 즉 도덕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살아가는 이상 적 삶의 과정 전체를 말한다. 다시 말해, 인성은 사단(四端)과 같이 모든 인간에게 내재된 미세한 도덕능력이 갖고 있는 ‘잠재적 가능성’(potentiality)을 가리키는 것이 다. ‘행위’의 측면에서 본다면, 인성대로 산다는 것은 인간이 마땅히 해야 할 옳은 행위를 실천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품성’(品性, character)의 측면에서 본다면, 인 성은 인간이 갖추어야할 선한 덕성(德性)의 총체를 가리키게 된다. 그러므로 맹자의 인성은 도덕적 능력과 삶의 이상적 표준을 함축하는 것이기에, 정확히 인성대로 사 는 사람의 행위 동기는 항상 선하며, 그의 행위는 옳은 것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맹자에게 있어서, 인성 개념은 선하지 않은 것을 내포할 수가 없다. 이것이 어째서 맹자의 인성이 선(善) 일변의 방향성을 갖는 지에 대한 이유이다.
I. 서론 II. 고자(告子)의 인성론과 맹자에 대한 비판 III. 고자 인성론의 문제점과 맹자의 비판 IV. 인성(人性)의 고정된 방향성 V. 성선설(性善說)과 여타 인성론의 차별화 VI.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