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도덕경』에 있어서 지각의 지위에 관한 연구

  • 29
커버이미지 없음

일부 학자들은 노자는 일체의 미적 감각을 부정하고 있다고 말한다. 『도덕경』에서는 “오음은 사람의 귀를 멀게 한다.”고 말할 뿐만 아니라, “대음에는 소리가 없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언급들은 미적 감각을 부정하는 징표라는 것이다. 이 세상에는 규정할 수 있는 소리(聲)와 규정할 수 없는 음(音)이 공존하고 있으며, 규정할 수 있는 소리(聲)는 규정할 수 없는 음(音)과의 관계 속에서 규정된 다는 것이 노자의 견해이다. 또한 궁宮?상商?각角?치徵?우羽로 규정되는 오성(五聲) 은 그 자체로 항상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며, 어떤 경우에는 음(音)이 되기도 한다고 노자는 말한다. 그래서 우리가 경우에 따라 소리(聲)이기도 하고 음(音)이기 도 한 오음(五音)으로 꾸며진 아름다움을 아름답다고 여긴다면, 이는 마치 귀머거리 의 아름다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가 파도 소리를 들을 때, 그 속에는 들리지 않는 미세 지각, 즉 작은 물방울들이 부딪히는 소리가 있는 것처럼, 우리의 지각에는 들리는 것 속에 들리지 않는 것이 있다고 노자는 말한다. 이처럼 한편으 로는 명석하되 혼잡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판명하되 애매한 것이 우리의 지각이라 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노자가 말하는 ‘대음희성(大音希聲)’은 일체의 미적 감각 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각을 통해서 이 소박한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 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능력을 노자는 ‘명(明)’이라고 일컫는데, 이는 유무(有無)가 새끼줄처럼 꼬여있는 소박한 세계를 알아채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I. 들어가기

II. 소박한 세계에 대한 소묘

III. 소박한 세계와 지각

V. 나가기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