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초록
스피노자는 『에티카』에서 인간의 자유와 지복 구원이 어떻게 실현 가능한 가를 보여준다. 인간은 올바른 이성을 통해 영혼의 참된 만족인 지복에 이를 수 있 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것을 가로막는 대표적인 것이 바로 미신이었다. 스피노자는 미신을 인식의 결여, 무지의 산물로 간주했다. 그래서 인식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미신은 사라지고 낮아질수록 다가온다. 1종지의 인간은 미신의 가장 손쉬운 먹잇감 이다. 2종지의 자유인은 미신의 힘겨운 적이다. 자유인은 이성의 명령에 따라 살고 자 노력한다. 이성은 죽음이 두렵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는다. 신의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신을 지적으로 사랑하는 3종지의 인간에게 죽 음의 공포와 미신은 태양의 이슬로 사라지고 영원한 삶을 누린다.
목차
I. 문제성
II. 미신의 원인
III. 희망과 공포
IV. 공포, 이성 그리고 자유인
V.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자율기술과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
- 스피노자의 구원의 윤리학에서 미신의 위상
- 사적 행복을 넘어 공적 행복으로 - 정치적 자유와 행복 -
- 정치와 거짓말 - 현대정치의 심미성과 자유주의 -
- 헤겔에서 불행한 의식과 행복한 의식의 변증법
- 리드의 행위자 인과이론에서 의욕의 무한 후퇴 문제
- 외부세계 회의론과 의미론적 극복 - 인식론적 충돌을 넘어 창조적 해결책으로 -
- 헤르더의 계몽비판과 ‘표현’으로서의 언어의 이념
- 플란팅가와 존재론적 논증의 유형
- 단테의 『제정론』에 드러난 아베로에스주의
- 흄의 종교에 관한 회의주의와 행복 - 종교적 갈등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
추천 논문
-
정영길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한국언어문학 제39집 1997.12
-
정소영(Jung Soyoung)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韓國言語文學 第59輯 2006.12
-
황혜경(Hwang Hyekyeong) 픽션과논픽션학회 픽션과논픽션 제1집 2019.11
-
공동서신에 나타난 구원과 선한 행실KCI등재채영삼(Young Sam Chae)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신약연구 제15권 제1호 2016.03
-
기독교여성의 몸, 폭력과 구원 사이KCI등재구미정(Mi Jung Koo)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생명연구 제31집 2014.03
최근이용논문
-
최경진(Choi Kyoungjin)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제16권 제2호 201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