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忠恕論을 그의 수양론과 어떻게 정합적으로 이 해 가능한가를 궁구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다산이 주자의 충서론에 대해 가한 비판 의 초점이 충선서후에 있다는 점과 이러한 주자적 이해, 즉 충을 서의 선결조건으 로 이해하게 될 때 수양의 측면에서 사회적 관계보다는 자기 내면으로 침잠하게 되는, 도덕적 이기주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점이 타 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주자와 다산의 충서론의 차이로 제시되기에 는 부족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주자 자신도 당시 불가의 수양론이 자기를 극복하는 공부, 즉 사욕을 극복하는 데에는 충분하지만, 사회적 관계를 끊고서 인륜을 저버 리고 자기 내면으로만 향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다산은 그의 경학에서 누차 내면의 천명, 즉 도심 없이는 한 터럭의 선도 이룰 수 없다고 말하 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을 행하는 방법으로 제시된 恕라는 도덕 원칙에도 어떤 식으로든 이 내면의 양심에 주목하는 공부가 관련되어 있지 않는가 하는 것이 필 자의 문제의식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들 을 주장하였다. 첫째, 恕, 즉 ‘기소불욕, 물시어인’은 타인에게 적용되는 추기급인推 己及人으로서의 도덕 원칙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수양하는 自修로 이해된다. 여기 서 ‘기소불욕’은 도심에 의해 주어지는 도덕적 명령이다. 둘째, 다산의 주자 수양론 비판의 초점은 주자의 미발 공부에 있다. 다산이 미발 개념을 희노애락 등의 미발 로 한정하고 심지사려 등의 이성적 사유 능력이 운용 가능하다고 재정의함에 따라 恕를 통한 자기 수양이 미발인 때에도 가능하게 되었다. 셋째, 다산의 도심은 내면 의 하늘의 명령[天命]이며 행위의 선함은 이 도심을 통해서야 이루어진다. 필자는 ‘기소불욕’, 즉 ‘바라지 마라’(혹은 ‘하지 마라’)라고 명령하는 내면의 소리가 인을 행하는 원리, 즉 恕에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I. 들어가는 말
II. 容恕와 推恕 : 주자에 대한 다산의 비판
III. 주자의 수양론에 대한 다산의 비판
IV. 다산 수양론과 恕의 관계: 내면의 소리[天命]는 恕와 어떤 상관을 갖는가?
V. 나오는 말: 다산의 수양론에서 恕가 가지는 의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