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6주간 총 12회기에 걸쳐 실험집단 23명(남12, 여11)에게는 개별화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 23명(남13, 여10)에게는 유치원 교육과정 생활주제별 집단 언어교육을 제공하였다. 사전, 사후 언어검사는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기 초로 개발하였다. 언어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를 비교해보면, 실험집단의 평균이 8.79점 증가하였고 통제집단의 평균이 3.83점 증가하여 증가분에 있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t=3.06 p<.01). 언어영역의 하위 영역인 듣기(t=3.95, p<.001), 말하기(t=2.63, p<.05), 읽기 (t=2.29, p<.05), 쓰기(t=2.44, p<.05)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평가에 기초한 개별 화 교육프로그램이 집단 교육에 비해 효과가 높음을 의미하며 일반 유아교사도 현장에서 활 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