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의 생명사랑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하고 나아가 생명사랑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인식수준 차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 285명과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사랑에 대한 유아의 인식수준은 사랑의 요소 간에 차이가 있 으며, 생명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가장 높고, 생명에 대한 가치관과 존중의 정도가 낮다. 또 이러한 인식수준의 성별 간 차를 보면 전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높으며, 구체적으 로 보면 생명사랑의 하위요인 중 존중과 관심에서 여아가 높으나 판단, 실천, 가치에서 는 차이가 없다. 둘째, 생명사랑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사랑의 요소 간에 차이가 있 으며 교사는 생명에 대한 가치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고, 또 존중, 실천, 판단, 관심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명사랑에 대한 인식수준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차는 생명사랑의 하위요인 중 관심에서는 5년 미만의 교사가 5년 이상의 교사보 다 더 높다. 셋째, 생명사랑에 대한 유아와 교사 간 인식수준의 차는 관심에서는 유아가 더 높으나 다른 요소는 모두 교사가 더 높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285명의 3세, 4세, 5세의 유아와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생명존중 설문지(김귀순, 2002; 이희옥, 2005)의 분석과 Fromm (1978)의 사랑의 요소, Sternberg(1988)의 사랑의 요 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유아용과 교사용 두 종류로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은 크게 생명존중, 생명관심, 생명판단, 생명실천, 생명가치 등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로 6문항씩 모두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는 유아교육전 공 대학생과 1:1 면접조사를 하였으며 교사는 설문지를 배포하여 개별적으로 작성하도 록 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요소 및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생명사랑의 각 요소를 피험자 내 변인으로 하고 유아의 성별, 교사 경력, 유아와 교사 변인을 피험자 간 변인으로 하여 반복측정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 였다. 그리고 각 집단간 차의 유의성을 구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Ⅴ. 논의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