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72.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 대학병원에 내원한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성별에 따른 질병지식 및 증상인지 비교

  • 47

심혈관질환의 이환율은 범세계적인 증가추세로 특히 동맥 경화증과 관련된 관상동맥 질환 등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 는 가운데, 지난 10년간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국내 사망률 은 1996년 인구 10만 명당 13.0명에서 2006년 29.2명으로 2 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고 유병률 또한 최근 8년 동안 1.4배 증가하였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흔히 관상동맥 질환은 중년 이후의 남성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아 남성에게 흔한 질병으로 알려져 왔으나, 미국심장협회에 따 르면 심혈관질환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의 과반수 이상이 여 성이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8), 국내 또한 남성 관상동맥 질환 발생률은 감소하고 있 는 반면 오히려 여성 관상동맥 질환 발생률은 증가하는 경향 을 보이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5). 이러한 변화는 여성 관상동맥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 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