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암 발생자수는 2007년 161,920명으로 위암, 갑상샘암, 대장암의 순이며 이중 대장암은 전체 암 발생자 중 12.7%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SK], 2009). 암 사망률의 순서로는 폐암, 간암, 위암에 이어 4위에 해당하며 특히 지난 10년간 사망률이 가장 많이 증가한 암 중에서는 폐암에 이어 대장암이 2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K, 2009). 대장용종은 대장 장관내에서 돌출된 상피로 덮인 모든 병변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대장암의 전구병변으로 인정되고 있는데(Correa, Strong, Reif, & Johnson, 1977; Kim, Kim, & Jeong, 2005; Ko et al., 2008), 대장용종을 가진 대부분의 환자들은 증상이 없어 대부분 정기검진을 통해서나 다른 증상으로 인해 검사하는 과정, 또는 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 확인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된다(Bressler et al., 2004; Song, 2009). 그러나 대부분의 대장암은 이러한 용종 단계를 거쳐 암종으로 이행되므로 대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대장용종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Boutron-Ruault, Senesse, Meance, Belghiti, & Faivre, 2001; Kim, 2008).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