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75.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체지방, 골격근량, 체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239

인간은 노화되는 과정에서 신체 움직임이 감소하고 이로 인한 운동량 감소는 근육의 힘과 지구력을 떨어지게 하며 체력저하와 체지방을 증가시킨다(Lim, 2009). 또한 대다수의 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퇴행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질환이 발생하게 되며(Yi, Han, Lee, & Lim, 2002), 운동의 감소 역시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질환 발생을 증가시키고 있다(Choi & Choi, 2011). 아울러 근육량 소실, 체지방의 증가 및 체지방 분포의 변화, 골밀도 감소, 피부두께 감소 및 복부비만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운동능력의 감소 외에도 면역기능 저하, 불면증, 우울증 등의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Lyuh, 2002). 노인들에게 빈발하는 근골격계 통증은 만성적으로 다양한 장애와 함께 상실감이나 고립감, 혹은 우울과도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Casten, Parmelee, Kleban, & Katz, 1995).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노인들은 호르몬 감소와 같은 생리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역할 변화, 자아정체감 변화 등으로 이와 같은 건강문제들에 더욱 빈번하게 노출될 수 있다(Lee & Chang, 1992). 이러한 노인들의 근골격계 질환들에 도움을 주는 접근방법으로 신체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만성질환의 위험 감소로 인하여 의료비 절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Lim, 2009).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