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발달로 인한 자동화와 기계화의 도입으로 장시간에 걸쳐 반복되는 단순작업으로 인해 발생한 기계적 스트레스가 신체에 누적되어 근육, 혈관, 관절,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손가락, 손목, 어깨, 허리 등의 만성적인 통증과 감각이상을 초래하는(Lee, 2007) 근골격계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여러 사람들에게 이환율이 높은 질환으로 사람들의 삶의 질과 건강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료비에 대한 부담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는 중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WHO, 2003). 우리나라의 근골격계질환은 1996년 이후 증가하여 2004년에는 총 4,112건에서 2008년 6,733건으로 5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inistry of Labor, 2009). 근골격계 질환의 발병요인은 반복적인 작업, 보편화된 컴퓨터 사용, 작업 시 부적절한 자세(Lee & Yim, 1998), 생활 양식의 변화와 습관, 직무상 스트레스(Jeon, Sakong, Lee & Chung, 2001)와 운동(Sung, Sakong, & Chung, 2000)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세의 부적절함과 근육의 잦은 사용으로 지속적 작업은 인대와 건을 약하게 만들고 만성 통증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Kim, Jeon, & Park, 2002), 작업과 관련되는 요인 이외에도 또 다른 여러 가지 원인이 유발요인이 될 수 있다. 그 중 근골격계질환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 과체중등 잘못된 건강습관이 주요한 발생 원인이 될 수 있으며(Lee, et al., 2007), 치료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처치는 심각한 후유증이 생기거나 불구가 되기도 한다.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