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75.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경외과중환자의 간헐적 비위관 경장영양 시 경장영양백 사용기간 및 소독방법에 따른 오염도 비교

  • 169

중환자는 부적절한 영양공급과 상처, 외상, 수술 및 패혈증 등으로 인한 신체적 스트레스 및 대사적 스트레스 상황에 처하게 되어 영양소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일반 환자보다 영양결핍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크며 면역기능이 저하된다(Urden, Stacy, & Lough, 2004).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20-50%는 단백질-칼로리 영양 결핍 상태에 있으며, 이는 환자 본래의 질병에 영향을 끼쳐 예후를 나쁘게 할 뿐 아니라 두부 손상 환자에서는 대사와 이화 작용이 증가하고 감염 발생이 용이하여 재활 과정이 매우 힘들어지게 되어 중환자들의 상태 호전과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공급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Dobson & Scott, 2007; Sohng et al., 2009). 이런 중증 환자들에게 중심정맥을 통한 영양공급 방법은 충분한 열량과 질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중심정맥 삽관에 의한 감염성 합병률이 10-30%나 되어 전문적인 팀에 의해 관리되어도 환자의 약 2%에서 패혈증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Kreymann et al., 2006). 그러나 경장영양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만 있다면 영양 제공을 위한 가장 좋은 경로로서 Mahesh, Sriram와 Lakshmiprabha (2000)는 중환자들에게 경장영양을 통해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은 장 점막의 성장을 돕고, 흡수력을 증가시키며, 영양소의 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경장 영양이 내·외과적 중재방법의 일환으로서 질병으로부터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경장영양의 중요성을 보고하였다(Kim & Kim, 2010; Sohng et al., 2009). 그러나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경장용액의 오염은 지속적인 위장 내 합병증 특히 설사를 유발하여 경장영양이 중지되는 주요 문제점이 되고 있다(Oie, Kamiya, Hironaga, & Koshiro, 1993; Park, 2010).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