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노년기의 여성은 신체기능의 저하, 폐경 및 노화를 경험하게 되며 정신적으로 불안, 우울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특히 농촌여성은 도시여성에 비해 많은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업노동에 따른 관절통, 신경통 등의 통증, 근골격계 질환과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이 주된 건강문제로 보고되었다(Oh, 2008). 농업 노동은 특성상 농작물의 생육과정에 따라 작업의 자세나 방법 등 작업 환경이 변화하며 계절적으로 일정한 시기에 한꺼번에 많은 노동량이 필요하게 되어 과중노동이 되기 쉽고,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려 앉거나 무거운 수확물을 운반하는 일과 같은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장시간 일하기 때문에 요통 및 관절통 등의 근골격계 증상과 만성적인 피로를 일으킨다. 피로의 중재방법으로는 휴식과 가벼운 운동이 권장된다(Kim & Choe, 1997)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