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78.jpg
KCI등재 학술저널

손위생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손위생 지식, 손위생 인식, 비강 내 황색포도알균 집락 및 손위생 이행에 미치는 효과

  • 549

의료관련 감염은 미생물의 직접적인 전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환자와 접촉하는 의료인의 손이 교차감염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교차감염의 결과로 항균제 내성균주의 증가, 불필요한 재원일수의 증가, 의료비의 상승 및 의료의 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Allegranzi & Pittet, 2009). 따라서 이러한 교차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손위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Pittet et al., 2006). 그러나 아직까지 의료인의 손위생 이행은 50%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고(Kim, 2009; Tromp et al., 2012), 대부분의 간호학생들의 경우 정확한 손위생법을 인지하지 못하고 환자간호 시에 손위생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Kelcíkova, Skodova, & Straka, 201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9)에서는 의료인의 손위생 이행이 저조한 이유로 손위생에 대한 지식과 손위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저하, 손위생 효능에 대한 회의론적 생각, 피부손상의 두려움, 바쁜 간호업무, 손위생 제제나 씽크대 부족 등으로 보고하였으며, 손위생 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손위생 교육과 훈련, 손위생 이행평가와 피드백, 알코올 손소독제 또는 비누나 수건 등을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의료기관의 시스템 변화, 손위생 포스터나 안내책자활용 등의 손위생 회상기법 활용, 안전한 의료환경 조성 등을 포함하는 다모델 손위생 증진전략을 권장하고 있다(Allegranzi et al., 2010; Sax, Uckay, Richet, Allegranzi, & Pittet, 2007; WHO, 2009). 최근 국내에서도 손위생을 포함한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기본가치로 제시하면서 WHO 손위생 권고사항을 근거로 의료기관의 손위생 이행률을 평가하고 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0).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