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학과 의료의 발달 및 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신부전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말기 신부전증의 주요 원인인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신 대체 요법을 필요로 하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Kim, 2008). 대한 신장 학회 등록위원회(2010)의 조사에 의하면 국내의 신 대체요법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처음 조사된 1986년에 2,534명이던 환자수가 2009년에는 56,396명으로 22배 이상으로 되었으며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이중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수는 37,391명으로 66.3%를 차지하고 있다. 혈액투석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무엇보다 적절한 혈관통로의 조성 및 기능유지는 매우 중요한데(Hwang, 2006; Kim, 2008; Park, 2002) 동정맥루 이용 혈관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Lee, 2004; Moon et al., 2006) 사용 혈로확보를 위한 혈관의 관리가 혈액 투석환자 간호 중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