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의 고령화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당뇨, 고혈압, 만성 사구체 신염 등을 원인으로 하는 말기 신 질환자는 2001년 31,014명에서 2011년 63,341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혈액투석은 말기 신 질환의 주요한 신 대체 요법으로서 2011년 전체 말기 신 질환자 중 67.2%가 혈액투석을 받고 있으며, 5년 이상 혈액투석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는 2001년 30%에서 2011년에는 44%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SN], 2012). 말기 신 질환으로 인한 빈혈과 심 기능 저하, 근 골격 기능의 약화, 폐활량 감소 및 혈액투석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와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혈액투석환자들의 신체활동량과 신체활동능력은 급격히 저하된다(Overend, Anderson, Sawnant, Perryman, & Locking-Cusolito, 2010). 혈액투석환자의 체력은 정상인의 50% 수준으로 감소되어 있으며, 최대 심박수와 최대 심박출량도 감소되어 있고, 근력약화와 보행 장애를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있다(Park, Choi, & Park, 2012). 이러한 신체활동 능력의 저하는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Cruz 등(2011)이 신장질환 단계에 따라 신체활동 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말기 신 질환의 모든 단계에서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신체적 편안함이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즉, 혈액투석을 받는 말기 신 질환자들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의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선행연구에서도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로 신체활동 능력을 보고하고 있다(Kang, 2010; Kim & Kim, 2004; Lee, 2012).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