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현대사회는 인간에게 기계 문명의 발달로 인한 경제발전과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및 여가시간의 증대와 같은 편리함을 가져다준 반면,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한 인간소외, 인구고령화 문제뿐만 아니라 운동부족으로 인한 건강문제 등 각종 사회병리 현상 문제를 떠안게 되었다(Yang, 2000). 그 중에서도 특히 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인구고령화 문제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0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2%에 이르러 ‘고령화사회’에 들어섰으며 2010년에는 11.0%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다. 더욱이 201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14.3%에 도달하여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노인인구가 20.8%로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인구 비율이 14% (고령사회)에서 20% (초고령사회)로 도달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불과 8년 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하며, 미국, 프랑스 등 기타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