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3097.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상 간호사의 약리학 지식과 임상실무 연계성 및 교육내용 필요도

  • 155

투약은 임상실무에서 전문적이고 책임감이 따르는 중요한 업무로 모든 간호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Kim, Park, & Kim, 2012). 간호사들 또한 투약이 간호 업무 중 가장 중요하며, 약물의 투약간호 및 약물의 작용과 부작용, 환자 교육, 정확한 의사 처방 이행 등을 위해 투약간호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Park, 2011). 특히 경구, 피내, 피하, 근육, 정맥 및 국소 투약 등의 투약업무는 간호사 근무조별로 12.6-21.2%의 직접 간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Kim & Park, 2010), 1일 평균 투약 건수가 52.2회에 달하고 있어(Lee et al., 1998) 직접 간호업무 중 두 번째로 업무 빈도가 높았다(Park, 2011). 반면, 업무 빈도가 높을수록 사고 발생 빈도도 높아 병원에서 발생하는 오류 중 33% 정도를 투약오류가 차지하고 있었으며(Milch et al., 2006),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23%의 간호사가 투약오류를 경험하였다고 하였다.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